높이 13층짜리 도시형 생활 주택이 들어설 서울 신대방동의 신축 공사 현장입니다. <br /> <br />철문은 굳게 닫혀 있고, 공사는 사실상 중단됐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10월 입주 예정이었지만 건설사가 자금 유동성 위기를 겪으면서 분양은 기약 없이 밀릴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시공능력평가 99위, 광주 지역 중견 건설사인 한국건설이 자금난에 빠지며 입주에 차질이 빚어진 겁니다. <br /> <br />이곳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건설사가 약속했던 중도금 대출 무이자 조건을 지키지 못하면서 졸지에 입주 예정자들이 생각지 못한 부담을 떠안게 된 곳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광주 신축 분양단지 네 곳에서 입주 예정자 9백여 명이 제때 이자를 내지 못하면 신용불량자가 될 수 있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[익명 / 광주 동구뉴시티 한국아델리움 스테이 입주 예정자 : 언제까지 그 이자를 무기한 낼 수도 없고 그래서 지금 저희 피해 계약자들도 다 그냥 아예 계약 해지를 지금 원하는 상황이거든요.] <br /> <br />2022년 말 한국건설의 부채 비율은 이미 400%를 넘어섰고, 공사 미수금은 일 년 만에 400억 원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건설사 측은 공사비 회수가 어려워지면서 자금난을 겪게 됐다며, 입주 예정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방 건설사들은 미분양 털어내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, 적체는 여전히 심각합니다. <br /> <br />급기야 청약 신청자가 한 명도 없는 단지까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주원 /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: 저렇게 미분양이 되면 힘들죠. 자금줄이 막히고 들어오는 돈으로 공사도 해야 하고 작업이 지연되는 사업장도 많을 것 같은데….] <br /> <br />정부가 세 부담 완화 정책까지 내놨지만 부동산 침체기 지방 미분양 문제 해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부채 비율이 높고 현금 확보가 어려운 지방 중소건설사들의 '불안한 버티기'가 한동안 이어지리란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윤해리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 | 윤성수 <br />그래픽 | 지경윤 <br />자막뉴스 | 박해진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12010175347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